[메가시티뉴스 정 원 기자] 한국이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서 핵심인 그래픽처리장치(GPU) 대량 확보에 성공했다.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참석을 계기로 한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26만장의 GPU 공급을 약속한 것. 이는 정부가 2030년까지 확보를 목표로 했던 5만장의 다섯 배가 넘는 규모다.
GPU 수급난에 시달려온 국내 상황을 고려하면 이번 성과는 이재명 정부가 목표로 내건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李대통령 "AI 3대강국 목표, 아태지역 AI수도로 거듭 날 것""투자로 골든벨"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APEC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대한민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인공지능) 수도'로 성장시키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이 배석했다.
접견에서는 △피지컬 AI 등 핵심분야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협력 △AI 기술 공동연구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 방안이 논의됐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라는 핵심 국가 비전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기술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으며, 이번 APEC 계기로 국제사회에 더욱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으로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AI 기업이 함께 하기로 했다"며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AI 시대를 가장 먼저 열어가는 테스트베드(시험대)"라며 "한국은 AI와 관련해 '풀 스택'(전 단계 공정)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면서 "한국이 AI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역할을 해달라. 엔비디아의 투자가 실패하지 않고 성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K팝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가 다른 나라에 영감을 주었듯 AI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화와 민주주의"라는 한국의 경쟁력을 부각하기도 했다.
이어 "엔비디아가 AI 혁신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재용, 정의선과 '깐부 치맥' 회동 젠슨 황 "한국, 세계 AI 중심지 될 것"
이 대통령은 전날(30일) 서울에서 젠슨 황 CEO와 이재용 회장, 정의선 회장과 '깐부 치맥(치킨+맥주)' 회동을 가진 것을 언급하면서 "치킨집에서 치킨을 드시는 것을 온 국민이 함께 지켜봤다. 더구나 (음식값을 모두 계산하는) 골든벨까지"라며 웃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어 "저도 그 자리에 있었어야 했다"고 하자 젠슨 황은 "여러분 들었느냐. 다음엔 대통령이 참석하신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런 대화가 이어지는 동안 좌중에는 웃음이 끊이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의 대한민국 흑자가 확대하고 대성공을 거둬서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골든벨을 받는 상황이 되길 바란다"며 "옛날 용산 전자상가에 가시는 마음으로 대한민국 전역을 다녀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인류의 미래를 결정적으로 바꿀 것으로 생각해 대대적인 투자 지원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전 세계에서 인공지능 관련 사업을 가장 시작하기 좋은 나라, 성과가 나는 나라로 (가기 위해) 저도 노력할 것이고 국민들도 노력할 것"이라며 "그 속에서 꼭 성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황 CEO는 이에 "최근 젊은 세대들이 많이 아는 것 같지만 (엔비디아는) 항상 한국과 함께 성장해 왔다"며 "엔비디아의 첫 번째 비즈니스는 PC 게임, 컴퓨터 그래픽이었다. 현재 엔비디아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기술의 근원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E-스포츠의 산지"라며 "저희는 함께 E-스포츠를 전 세계 글로벌 트렌드로 만들었다. 엔비디아는 한국 E-스포츠의 원동력이자 엔진"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제 저희는 AI라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시작에 서 있다. AI는 모든 산업을 변화시킬 굉장히 놀라운 기술"이라며 "모든 사람들, 모든 사회, 모든 산업은 AI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AI (발전에) 필요한 것은 깊은 기술 전문성과 혁신성, 선구안을 지닌 기업가들과 AI 역량을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한국은 이미 굉장히 깊은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고 성공한 기업가들도 있다. 이렇게 훌륭한 산업 역량을 지닌 나라는 한국 말고 어디에도 없다"며 "한국 AI 발전을 위해 계속해서 함께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산업, 차, 제조업, 반도체 공정, 소비재와 가전제품까지 많은 발표를 함께할 것이다. 한국이 AI 여정에 함께 하게 될 텐데 기쁘고 기대가 된다"며 "앞으로 한국에 굉장히 중요한 발표들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이에 "젠슨 황 대표가 대한민국의 AI 관련 투자를 시작했다"고 답하자 참석자들이 박수를 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그야말로 얼리어답터가 워낙 많은 나라이고, 열정적이며 지혜도 뛰어난 사람들이 많다"며 "황 대표가 대한민국 AI 시대를 가장 먼저 열어가는 테스트베드(시험대)로 만들어 놓고 크게 성공할 거라고 확신한다"고 화답했다.